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재테크
- 앱테크
- 부업추천
- 미국주식
- 중기청대출
- 동탄호수공원리슈빌
- 주식투자
- 공모주청약
- 서울20평대
- 2차전지ETF
- 미국주식배당
- 공모주
- 하락장
- 미국주식배당금
- 파이프라인
- 클럽하우스
- 2차전지
- 부업
- 애드센스 지급 해외송금받기
- 파이어족
- 애드포스트
- 부수입
- 애드센스 국내 계좌
- aiworks
- 동학개미
- 주린이
- 임장일기
- 배당주
- 친환경etf
- 애드센스 지급 신한은행 송금
- Today
- Total
경제적 자유를 꿈꿔요! FULL MOON'S MONEY STORY
다가오는 2021년 연말정산, 공부하고 가요! 세액공제 소득공제 차이 본문
1. WHY 연말정산?
- 국가에서 세금 정산해주는 것.
- 미리 걷은 세금 VS 사실 냈어야 하는 금액. 비교 후 조정.
[1단계]
우리는 세금을 매 달 내고 있다! 4대 보험 주민세 등등 월급 받을 때 이미 까여서 받는다. (세전, 세후 월급이 차이나는 이유)
-> 기납부세액
그런데 매번 세금을 신고하면 귀찮고 번거롭지 않은가!
그리하여 소득을 지급하는 곳(ex. 회사,은행)에서 내가 내야 할 세금을 미리 떼서 납부해버린다.
딧스 잇스 원 천 징 수!
[2단계]
일단 미리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라, 이제 정확하게 세금 정산할 차례야.
정부 방향성에 따라, 조금 까줄게 ㅇㅇ, 일종의 사회공헌도에 따른 혜택.
i,e ) 제로페이, 부양 가족, 도서 문화 관련 공제 등등
**신용카드 연말정산 혜택있다고 쓰는 것은 절대 비추**
신용카드 혜택을 부과한 것도, 개인사업자 등 세금루팡 막으려는 차원에서 국가에서 도입한 것.
일개미 🐜: 열심히 신카를 긁고 다닌다.
국가 : 매출에 대한 소비자 카드 기록이 있으니깐 얼마나 매출이 있었는지 알 수 있잖아? 💰 세금 걷기 꿀~
물론 다양하게 '많이' 쓰면 혜택은 있겠지만, 과소비해서 혜택을 받을 필요가 없다!
[3단계]
1,2단계에서 조정된 금액으로 세금을 받거나 토한다.
2. 연말정산 주요 용어
소득 공제 VS 세액 공제
이 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원천징수, 과세표준에 대해서도 알아야한다.
- 원천징수 : 급여에 대한 세금 미리 떼갑니다~
소득 또는 수입 금액을 지급하는 자(원천징수의무자)- 사업주가 그 대가를 지불할 때 상대방(원천납세의무자)- 근로자가 내야 할 세금을 국가를 대신하여 징수하고 납부하는 것이다. 이를 통해 국가는 세금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고, 세금 수입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다. 또한, 납세의무자 입장에서는 세금을 분할 납부함으로써 조세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원천징수 [Withholding tax, 源泉徵收] (두산백과)
- 과세표준 : 세금 부과시 기준되는 표준 금액.
근로소득의 과세표준은 내가 해당되는 기준은 아래와 같고, 금액에 세율 15%를 곱하면 세액이 되는 것.
1200만원 ~4600만원 이하 : 15 %
4600만원 ~8800만원 이하 : 24%
1) 소득 공제
각종 공제 통해서 소득 깎아주기.
실제 번 4700만에서 여러 소득 공제 통해서 4500만으로! (적용 세율 24% -> 15%)
소득이 많을 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!
간접적. (과세표준 걸쳐있는 구간에 메리트 있을듯)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 |
1200만원 이하 | 6% | 해당 없다 |
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| 15% | 108만원 |
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| 24% | 522만원 |
8800만원 초과 1억 5천만원 이하 | 35% | 1490만원 |
2) 세액공제
결정된 금액에서(내야 할 세금에서) 빼주기.
내야할 세금 60만원에서 20만원이 되어버림
ㅣ 40만원 공제.
직접적. 결정된 세금에서 잘라주기. 더 효과적!
이번에 연말 정산하면서 해피빈 콩 내역이 잡혀있어서 띠요옹 했는데
기부금도 세액공제 항목이었다.
종류 별로 공제 비율은 다르지만 티끌모아 영차
그럼 2021년 연말 정산 전에
미리미리 개념을 이해하고, 똑똑하게 연말 정산 합시다!
연말정산으로 13월의 월급을~~
'금융 지식 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연말정산] 개인 연금저축 , 의료비 안 뜨는 경우 혹시 카톡 지갑 쓰셨나요? (0) | 2021.01.15 |
---|---|
중기청 전세대출 연장 100% , 껌이네! 대출 서류 준비 / 국민은행 KB (2) | 2021.01.12 |
아이폰 카톡 지갑 만들기! 초간단! 카카오톡으로 공인 인증서에 연말정산까지 (0) | 2021.01.06 |
비트코인 이벤트 - 공짜로 만원 받아가서 수익 내보자 / 업비트 첫가입 이벤트 (4) | 2021.01.05 |
새마을금고 최고 금리 / 새마을 금고 예금 이자/ 예금 추천 (0) | 2020.06.02 |